경제/주식

[주식] 평화홀딩스㈜(Pyeonghwa Holdings) 최근 주가 추이는??

ggamacun 2025. 4. 13. 15:00
반응형

출처 : 평화홀딩스

평화홀딩스㈜(Pyeonghwa Holdings)는 과거 평화산업을 모태로 성장한 중견 지주회사로, 주요 자회사인 평화산업(자동차 부품), 평화정공(방산), 평화발레오(자동차 열관리) 등을 통해 자동차 부품, 방위산업, 지주회사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반응형

회사 개요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53년 (2020년 지주사 전환)
본사: 경상북도 경산시
대표이사: 강찬모 (2024년 기준)
상장: 코스피 (1989년 상장, 지주사 전환 이후도 유지)
직원 수: 약 80명 (지주사 기준, 연결 약 1,800명)
매출: 약 5,600억 원 (2023년 연결 기준)
자회사: 평화산업, 평화정공, 평화발레오 등


사업 영역 (Business Segments)

지주회사 사업
연결 자회사들의 경영 관리, 투자, 자산운영 수행
주요 자회사들의 실적에 따라 수익이 결정됨
투자/배당/자금 운영/신규사업 발굴 중심

자동차 부품 – 평화산업 (100% 자회사)
방진고무(Bushing), 엔진마운트, 서스펜션 부품 등
현대기아차, GM, 르노코리아, 테슬라 등 국내외 OEM에 납품
전기차용 부품 개발 확대 중

방산사업 – 평화정공 (약 38.6% 지분 보유)
탄약용 탄피, 발사체 부품, 정밀 가공류 방산부품 제조
국방과학연구소, 한화디펜스, 육군 등에 납품
해외 수출보다 국내 군 중심의 공급 비중이 큼

열관리 부품 – 평화발레오 (JV, 약 33% 지분)
프랑스 발레오사와의 합작회사
자동차 히터, 에어컨 컴프레서, 열관리 시스템 등
친환경차용 열관리 시스템으로 확대 중


주요 특징 및 성장 전략 (Key Features & Strategy)

지주사 체제 안정화 및 수익구조 다각화
2020년부터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투자 전문성 확보 및 배당 수익 기반 확대 목표
핵심 자회사 외 신규 성장동력 물색

자동차 부품의 친환경차 대응
평화산업을 통해 전기차용 서스펜션·방진 부품 개발
완성차 업체들과 협업해 고성능·경량 부품 확대 중
글로벌 전기차 기업 납품 증가 추세

방산 안정 수익 기반 강화
평화정공을 통한 국방부 지속 수요 확보
정밀도와 품질 중심의 탄피류, 추진체 부품 공급
차기 국산화 무기 시스템 참여 기회 확대 중

ESG 및 지속가능경영 노력
2023년부터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친환경 생산, 인권경영, 협력사 ESG 평가 등 추진
정부 방산/조달사업 ESG 평가 대응 강화


최근 동향 (2023~2025 기준)

분야 주요 내용
- 자동차 부품 전기차용 부품 공급 증가, GM 및 테슬라향 납품 지속
- 방산 K계열 무기 증가와 맞물려 탄피·발사체 수요 안정적
- 지주수익 평화산업·정공의 실적 호조로 지주 배당수익 증가
- ESG 공공 입찰 대비 ESG 기준 맞춤 대응 체계화
- 지분 정리 평화발레오 및 평화정공 일부 지분 재조정 검토 이슈 존재



장점

- 지주회사 체제로 수익구조 분산 및 안정적 관리 가능
- 자동차 부품 + 방산이라는 이중 포트폴리오 보유
- 평화산업, 평화정공의 OEM 신뢰도 높음
- 국방 예산 수혜와 EV 부품 수요 수혜 동시에 가능


단점

- 지주사 자체 매출/수익 창출력은 낮음 (자회사 의존)
- 방산사업은 국내 중심이라 수출 확장성은 제한적
- EV 부품 경쟁 심화로 원가압박 증가 가능성 존재
- 발레오 JV는 지분법 평가 방식으로 연결 반영 안 됨


결론 (Summary)

평화홀딩스는 자동차 부품과 방산 부품을 축으로 한 지주회사로, 지속 가능한 수익 기반과 산업 안정성을 갖춘 중견 지주사다
전기차 부품 확대, 방산 정밀 부품 수요 증가, ESG 기반 경영 체계 강화 등으로 향후 수익성과 안정성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높지만, 지주사의 수익구조 자체보다는 자회사 성과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경영 효율화 및 신규 성장동력 발굴이 향후 과제로 남아 있다

모든 투자에 대한 결과는 본인에게 있음을 전달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