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주식

[주식] 한화시스템은 한화그룹의 방산·항공·우주·ICT 계열사의 중심??

ggamacun 2025. 4. 24. 15:00
반응형

출처 :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Hanwha Systems)은 한화그룹 계열의 방산 전자 및 첨단 ICT 솔루션 전문기업이면서 과거 삼성탈레스에서 출발하여 한화가 인수 후 ‘한화시스템’으로 사명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국방전자, 위성·항공우주, UAM(도심항공교통), AI·DX 플랫폼까지 다양한 영역에 진출해 있는 기업이다

반응형

회사 개요

설립연도: 2000년 (구 삼성탈레스 → 2018년 한화시스템)
본사: 서울특별시 용산구
대표이사: 손재일 (2024년 기준)
상장: 유가증권시장 (KOSPI, 종목코드 272210)
직원 수: 약 3,000명
매출: 약 2조 1,000억 원 (2023년 기준)
모회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지분 약 50% 보유)


사업 영역 (Business Segments)

방산전자 사업 (디펜스 시스템)
국방 무기체계의 핵심 전자장비 개발 및 납품
대표 제품:
전투기/함정용 레이더, 전자광학장비, 적외선탐지기(IRST)
지휘통제체계(C4I), 전자전 장비, 통신 시스템
한국형 전투기 KF-21, KDDX 차세대 구축함 참여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 한화디펜스 등과 협력

위성·항공우주 사업
위성 탑재체, 통신망, 위성 지상국 운영 시스템 등 개발
저궤도 위성 통신 프로젝트 ‘호라이즌(Horizon)’ 추진
다목적 실용위성, 군위성, 우주 감시체계 참여

UAM(도심항공교통)
미국 오버에어(Overair)와 ‘버터플라이’ eVTOL 공동 개발
한화시스템은 기체 + 인프라 + 운항 플랫폼 통합 추진
2025년 시범 운항, 2028년 상용화 목표
항공관제, 운항관리시스템(UATM), 공항형 버티포트 등 자체 구축

ICT·AI·스마트솔루션
AI 기반 감시·정찰, 스마트시티 통합관제, 사이버보안 솔루션
공공기관, 스마트공항, 에너지 관제 시스템 구축
자율운항체계, 디지털트윈, 클라우드 플랫폼 사업 강화 중


주요 특징 및 성장 전략 (Key Features & Strategy)

방산 전자기술 독자화
국내 방산 전자장비 국산화 비율 지속 증가
KF-21 레이더, 광학 센서, 전자전 장비 국내 최초 개발
KDDX 차세대 구축함용 다기능 위상배열 레이더 개발 참여

UAM 통합 모델 구축
‘하늘길부터 플랫폼까지’ 한화 단독 생태계 전략
Overair와 공동 기체개발 + 한화시스템 인프라로 통합 운영
국토교통부 UAM팀, 인천공항공사 등과 협력

우주통신 사업 본격화
저궤도 위성 통신망 구축 (한화시스템·쎄트렉아이·파워시스템 협력)
우주항공청 신설에 따른 국가 위성사업 중심기업으로 부상 가능성
미래 군통신망 사업 수주 기대

민간 ICT 및 스마트시티 확장
공공기관·지자체 대상 도시 안전, 교통, 에너지 통합 플랫폼 구축
AI+빅데이터 기반 통합관제, 감시정찰 시스템 강화
국방 외 민간 솔루션 매출 확대 전략


최근 동향 (2023~2025 기준)

분야 주요 내용
- UAM 사업 ‘버터플라이’ 시제기 제작 완료, 2025년 시범 운항 예정
- 위성통신 호라이즌 프로젝트 1단계 저궤도 위성망 설계 완료
- ICT 수주 확대 스마트시티, 스마트항만 사업 다수 수주
- AI 감시 시스템 공공기관·군 시설에 AI 기반 자동 감시 시스템 구축
- 디펜스 시스템 KF-21·KDDX·비호복합 등 전자장비 대규모 양산 계약 체결


장점

- 방산 전자 분야 국내 독보적 경쟁력 보유
- 위성·UAM·ICT까지 확장된 미래 모빌리티 포트폴리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그룹 계열사와 기술 시너지 우수
- 국방/우주 산업 정책 수혜 가능성 높음


단점

- 방산 비중이 높아 정부 예산 의존도 큼
- UAM, 위성 등 신사업은 아직 수익화 초기 단계
- 해외 매출 비중 및 글로벌 브랜드 경쟁력은 제한적
- 기술투자 지속에 따른 비용 부담 존재


결론 (Summary)

한화시스템은 방산 전자·항공·우주·UAM·ICT 분야를 아우르는 첨단 융합 기술 기업으로, 국내 유일의 방산 전자 플랫폼 기업이자, 우주항공·도심항공 분야에서 독자 생태계를 구축 중인 핵심 기술 기업.
국방 전력 현대화, 저궤도 위성 통신망, 도심 항공 교통(UAM) 등의 트렌드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매우 유망한 미래 성장 기반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평가된다

모든 투자에 대한 결과는 본인에게 있음을 전달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