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까마쿤입니다.
오늘은 자기 집을 마련할 때 기쁨과 동시에 돈이 나가죠 ㅠㅠ
중도금 잔금은 언제 치르는 게 맞을지?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 매매의 경우 대개 계약일로부터 중도금은 1개월 이내에 치르고 나머지 잔금은 2~3개월 뒤에 치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내가 집을 사는 입장이라면, 중도금과 잔금일을 정할 때 공인중개사가 조율해 주는 날짜 혹은 매도인이 원하는 날짜로 정하기보다는 본인의 상황과 조건 등을 고려해서 유리한 날짜로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도금 지급 후 계약 해제는 어렵다
민법 제565조 1항을 살펴보면 “당사자의 일방이 이행에 착수할 때까지 교부자(매수인)는 이를 포기하고 수령자(매도인)는 그 배액을 상환하여 매매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라고 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이행에 착수’란 바로 중도금 지급을 의미한다.
중도금 지급 전까지는 양측 다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다만 매수인 의사로 계약을 해제할 때는 계약금을 포기해야 하고, 매도인 의사로 계약을 해제할 때는 계약금의 배액(두 배의 값)을 상환해야 한다.
그러나 중도금이 지급되면 양 당사자는 상호 합의가 없는 한,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제할 수가 없게 된다.
최악의 경우에는 소송을 제기하여 재판으로 판결을 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중도금 날짜를 정할 때는 무작정 공인중개사가 조율해 준 날짜를 따를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조금이라도 더 유리한 날짜가 있을지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중도금 일정 어떻게 잡아야 유리할까??
1. 매수인 우위시장(=가격 하락 시장, 부동산 비수기)
부동산 시장의 경기가 좋지 않아 가격이 정체해 있다거나 혹은 떨어질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최대한 중도금 날짜를 길게 잡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중도금을 지급하기 전인데 부동산 가격이 계약금 이상으로 떨어진다면, 이미 지불한 계약금을 포기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이득이기 때문이다. 또한, 급한 마음에 일단 계약을 했는데 물건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아 생각할 시간이 필요할 때도 중도금 날짜를 최대한 길게 잡아야 한다. 이때 계약금은 최소로 조율해 5% 정도로 지급하는 것이 좋다.
2. 매도인 우위시장(=가격 상승 시장, 부동산 성수기)
부동산 시장의 경기가 좋아 연일 신고가 행진을 이어갈 때, 매수인 입장에서는 중도금 날짜를 최대한 짧게 잡는 것이 좋다.
부동산 상승기에는 1~2개월 사이 심한 경우 10~20% 이상 가격이 오를 때가 있기 때문이다. 매매가 5억 원으로 계약금 5,000만 원을 지급하고 계약서를 작성했는데, 중도금 지급 전 주변에 개발계획 호재가 발표되면서 1억 원이 상승했을 때를 가정해 보자. 매도인 입장에서는 받은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해 주더라도 5,000만 원이 남기 때문에 계약의 해제를 심각하게 고려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럴 경우를 대비하여 부동산 상승기에는 최대한 중도금 날짜를 짧게 잡아야 하고, 또한 특약사항란에 “중도금 지급일 전이라도 매수인이 원할 경우 미리 중도금을 매도인에게 지급할 수 있다”는 문구를 넣어두는 것도 본인에게 우위를 가져가는 좋은 방법이다.
잔금 일정 잡을 때는 6월 1일을 기억!!
무언가를 사고팔 때에는 계약만 잘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마무리까지 모두 잘 맞추어야 한다. 부동산 매매도 마찬가지인데, 잔금 날짜만 잘 잡아도 절세할 수 있고, 매매 가격을 더 깎을 수도 있다. 매수인과 매도인에게 6월 1일은 굉장히 중요한 날이다.
왜냐하면 부동산 보유세(재산세, 종합부동산세)의 납부 의무자를 등기사항증명서상 매년 6월 1일 자 소유자로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의 기준일은 ‘계약일’이 아니라 ‘잔금일(실제 등기를 넘겨받은 날)’을 의미하므로 매수인은 소유권이전등기일을 6월 1일 이후로 하는 것이 좋다. 만약 6월 1일 이전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했다면, 소유자가 된 지 단 며칠밖에 되지 않았지만 해당 부동산과 관련된 보유세의 1년분 모두를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그러므로 매수인은 6월 1일 이후로, 매도인은 6월 1일 이전으로 잔금일을 잡는 것이 1년치 세금을 절세하는 방법이다.
매도인의 희망 잔금 날짜가 있다면 협상카드로 활용하기
잔금일은 매도인과 매수인의 조율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나 간혹 매도인이 계약 조건으로 잔금일을 지정하길 원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보통 세금 관련 문제가 있거나 이사 갈 집을 미리 계약해 놓은 상태일 때가 많다.
세금 관련 문제 걸려 있는지 확인하기
가장 부담이 큰 세금은 양도소득세다. 매도인이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 정해진 날짜까지 집을 팔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매도인은 정해진 날짜 안에 잔금이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매매가를 더 받는 것보다 날짜를 맞추는 것에 더 비중을 두고 계약을 진행하게 된다.
이사 갈 집이 정해졌는지 확인하기
매도인이 희망 잔금 날짜를 못 박는다면 자신의 집이 팔리지 않은 상태에서 마음에 드는 매물이 있어 미리 계약해 놓았을 확률이 높다. 잔금 날짜는 점점 다가오는데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이 팔리지 않을 때의 초조함은 겪어보지 못한 사람은 겪지 않으면 아무도 모른다.
이 두 가지 경우에 해당하면 매도인 입장에서는 정해진 날짜 안에 잔금이 무조건 진행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매수인 입장에서는 그걸 무기로 금액 또는 조건 등을 조율해볼 수 있다. 집을 살 때 공인중개사나 매도인이 잔금 날짜가 정해져 있는 매물이라고 한다면 그냥 흘려듣지 말고 그 이유를 알아내서 협상카드로 사용하는 것이 내게 유리한 거래를 만드는 방법이다.
'경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부동산 거래 잘하는 사람 = 공인중개사와 좋은 관계 (41) | 2024.11.05 |
---|---|
[부동산/내 집 마련]역세권/학군, 로열동/비로열동, 남동향/남서향 여러분의 선택은? (45) | 2024.10.29 |
[내 집 마련]2024년!! 신생아 정부 지원 대출 정리본!! (40) | 2024.10.17 |
[내 집 마련] 2024년!! 신혼부부 대출 정리본!! (42) | 2024.10.16 |
자가 vs 전세 vs 월세 차이의 모든것 (58) | 202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