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3

우리가 알고 있는 한문학과(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어떤걸까?

한문학과란 한문으로 쓰인 문학인 한문학에 대해서 배우고, 또 더 나아가 연구도 진행하는 것을 배우는 학과이다.보통은 인문대학 또는 문과대학에 속한다.우리나라는 한문에 영향을 많이 받은 나라여서 아직도 한문으로 되어 있는 글자들이 수두룩하게 많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어문계열 학과의 교육과정에 실려 있는 문학 및 문학사, 문학비평론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경전, 역사서, 수필, 민담이나 야사와 같은 신변잡기류, 실용문 등 전체를 아우르는 장르에서 쓰이며, 또 교술 갈래나 고문서 등 한문으로 기록된 모든 작품에 대해 배우고, 그 작품들의 문체나 한문을 해석하기 위한 문법도 배운다.문자학의 일종인 한자학 또한 일반적으로 이 학과 내의 세부 전공이라고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서예와 관례 등을 비롯하여 고전 예법 ..

대학 학과 2024.09.06

우리가 알고 있는 해양학과(Oceanography) 어떤걸까?

해양학이란 지구의 3/4를 차지하는 바다에 대하여 연구하고 또 실생활에 적용해서 사용하는 학문이다. 보통 지질학, 대기과학과 함께 지구과학의 한 분야를 이룬다고 보면 된다. 해양학 내에서는 물리해양, 화학해양, 생물해양, 지질해양 등으로 나뉜다. 물리해양해양물리학이라고도 불리는데, 바다의 물리적 움직임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일반인들에게 가장 친숙한 것은 해류 및 조석 및 파도, 기후변화 및 온난화 항목에서 종종 나오는 대양 대순환(Ocean Converyor Belt) 같은 분야도 연구한다. 지구 기후에 가장 영향력이 크다고 하는 바다에 대한 연구 분야인 만큼 기후변화 관련 연구의 최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아무래도 기후변화에 대해서 연구하다 보니 수학에 기반을 둔 물리학적인 내용인 해류 및 조석 모..

대학 학과 2024.08.31

우리가 알고 있는 북한학과 어떤걸까?

우리나라에서 대학교에서 이런 거를 가르친다고? 하는 과 중 하나다. 말 그대로 북한학을 다루는 학과다.기본적으로 북한이라는 지역을 다루는 지역학의 성격을 띠고 있으나, 북한이라는 지역이 워낙 특이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북한 정치 그 체제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하게 된다. 북한학뿐만 아니라 남북통일과 관련해서도 주로 배운다. 따라서 통일학과나 통일학부라고도 불리곤 한다. 국내에서 북한만의 주체사상과 유일사상을 공식적으로 배울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이며 또 북한이탈주민 특강 및 북한 영상 등 상대적으로 접하기 힘든 북한의 실상을 가장 밀접하고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학과라고 생각하면 된다.약간 TMI이긴 하지만 동국대학교 축제 때 북한학과에서 주점을 내면 교수님들이 중국 가서 구해 오신 대동강 맥주나 ..

대학 학과 2024.08.19